2025년 5월 중국 제조업 침체와 미국 관세 완화: 수출 충격과 정부의 대규모 부양책
2025년 5월, 중국 경제는 제조업 침체와 수출 감소라는 이중고에 직면해 있습니다. 미국의 관세 완화는 단기적으로는 완충 역할을 하고 있지만, 구조적인 회복세로 이어질지는 여전히 불투명합니다. 아래에서는 최근 공개된 주요 경제 지표 및 정책 동향을 정리합니다.
📉 중국 제조업 PMI, 두 달 연속 50 이하…경기 위축 지속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2025년 5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9.5로, 기준선인 50을 두 달 연속 하회하며 경기 위축이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냈습니다.
-
대기업 PMI: 50.7 (확장세)
-
중형기업 PMI: 49.3 (위축세)
-
소형기업 PMI: 47.5 (심각한 위축)
-
신규 주문지수: 49.8
-
원자재 재고지수: 47.4
이는 미국과의 무역 갈등과 내수 소비 둔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됩니다.
“5월 PMI가 49.5로 소폭 반등했지만, 제조업 경기의 본격적인 회복세로 보기엔 아직 이르다.”
— ForexLive, 2025년 5월 31일[1]
🇺🇸 미국의 관세 완화, 충격 일부 완충…30%로 인하
2025년 들어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최대 145%에 달하는 초고율 관세를 부과했지만, 5월 무역 협상 타결로 대부분의 품목에 대해 관세율을 30%로 인하했습니다.
-
이전 관세 유지 시 평균 관세율: 27.6% (1903년 이후 최고치)
-
관세 완화 후 현재 평균: 17.8% (1934년 이후 최고치)
-
미국 GDP 영향: -1.1%p → -0.7%p로 완화
-
향후 10년간 미국 세수 증가 추정치: 약 3,000억 달러
이번 완화는 미국 내 기업들의 원자재 및 중간재 수입 비용을 줄이는 효과를 낳고 있습니다[2][6].
🌍 중국 수출 신규 주문 급감…글로벌 수요 위축
2025년 4월 기준, 중국 제조업의 신규 수출 주문 지수는 44.7로 전월(49.0) 대비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이는 고율 관세와 글로벌 소비 위축이 동시에 영향을 미친 결과로 분석됩니다.
-
수출 주문 지수 하락: 49.0 → 44.7
-
2025~2026년 수출 물량 전망: 연평균 -5% 감소 (Goldman Sachs)
-
무역수지 흑자: GDP 대비 4.0%(2024) → 3.7%(2025)로 감소 전망
이는 중국 수출 중심 산업의 수익성과 고용에 부정적인 파급 효과를 초래하고 있습니다[3].
🏦 중국 정부, 5% 성장 목표 위해 전방위 부양책 단행
경기 하강을 저지하기 위해 중국 정부는 역사상 가장 강력한 수준의 통화·재정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금융 및 통화 정책
-
지급준비율 0.5%p 인하 (약 1조 위안 유동성 공급)
-
7일물 역레포 금리 0.15%p 인하 (1.85%)
재정 및 소비 촉진책
-
2,000억 위안 증시 안정화 펀드 조성
-
5,000억 위안 규모 소비자 금융 지원
-
3,000억 위안 기술혁신 펀드 신설
-
기존 주담대 금리 0.5%p 인하
-
6,000위안 이하 디지털 제품 교체 시 15% 보조금 지급
“이번 부양책은 코로나19 이후 가장 강력한 정책 패키지로, 소비와 혁신에 자금을 집중 투하는 것이 특징이다.”
— DiscoveryAlert, 2025년 5월 9일[4]
📌 종합 정리
2025년 5월 현재, 중국 제조업은 위축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미국의 관세 완화가 일부 숨통을 틔웠지만, 수출 급감과 구조적 내수 약화는 여전히 심각한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중국 정부의 대규모 부양책은 단기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장기적인 산업 구조조정 및 글로벌 공급망 재편 속에서 얼마나 지속 가능한 반등을 이끌어낼지는 미지수입니다.
참고자료
[1] ForexLive, 중국 5월 제조업 PMI 발표 (2025.05.31)
https://www.forexlive.com/news/china-may-manufacturing-pmi-rose-to-495-prior-490-non-manufacturing-503-prior-504-20250531/
[2] China Briefing, 2025년 미중 관세 현황 (2025.05.23)
https://www.china-briefing.com/news/us-china-tariff-rates-2025/
[3] Goldman Sachs, 중국 수출 전망 (2025.05.05)
https://www.forexlive.com/news/goldman-sachs-sees-chinese-exports-declining-through-2025-2026-20250505/
[4] DiscoveryAlert, 중국 경기부양책 분석 (2025.05.09)
https://discoveryalert.com.au/news/china-economic-stimulus-package-2025-trade-recovery/
[6] CEPR, 2025년 미중 무역전쟁 글로벌 영향 (2025.03.28)
https://cepr.org/voxeu/columns/roaring-tariffs-global-impact-2025-us-trade-war